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9

Zillow 클론코딩 회고 리액트 방식으로 간단한 토이프로젝트를 해보았지만 웹페이지를 구현하는데 자신감이 부족했습니다. 클론 코딩을 통해 리액트 구현능력을 기르고 CSS 실력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간단한 프로젝트를 해보았습니다. 구현하면서 했던 고민과 어려웠던 점 등을 간단하게 포스팅 하려 합니다! ✔ 구현 이미지 ✔ git-hub pages 배포 주소 https://homiekim.github.io/Zillow_Clone/ Zillow Clone homiekim.github.io ✔ 사용한 라이브러리 React (초기 세팅 CRA 사용) emotion (CSS-in-JS 방식 사용) ant-design (Input, Card, Button 정도의 컴포넌트를 ant-design에서 가져와 사용하였습니다.) font-awesom.. 2022. 3. 5.
[4주차 스터디] 23장-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를 바르게 이해 한다면 알 수 있는 것들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 기반 식별자와 식별자 바인딩을 관리하는 방식 호이스팅이 발생하는 이유 클로저의 동작 방식 태스크 큐와 함께 동작하는 이벤트 핸들러 비동기 처리의 동작 방식 소스코드의 타입 ECMAScript 사양은 소스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 이때 소스크도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 전역 코드(global code) 전역에 존재하는 소스코드. 전역에 정의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 X 함수 코드(function code) 함수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 함수 내부에 중첩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 X eval 코드(eval code) 빌트인 전역 함수인 eval 함수에 인수로 전달되어 실행되는 소스코드. 모.. 2022. 2. 23.
[4주차 스터디] 22장- this this this의 정의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참조 변수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this의 필요성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퍼티 : 상태(state)를 나타냄 메서드 : 동작을 나타냄 객체는 자신이 속한 객체의 상태를 참조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생김 자신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하려면 우선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생성자 함수 경우 new키워드로 생성자 함수를 호출해야 instance가 생성된다. 즉, 생성자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 생성될 예정인 instance를 가리키는 식별자가 필요 (= this).. 2022. 2. 23.
[4주차 스터디] 21장- 빌트인 객체 빌트인 객체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분류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개의 객체로 분류할 수 있다. 표준 빌트인객체 표준 빌트인 객체는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객체를 말하면, 애플리케이션 전역의 공통 기능을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과 관계없이 언제나 사용가능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서 제공 됨 따라서 전역 변수 처럼 사용 가능 호스트 객체 호스트 객체는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자바스크립트 실행환경 (browser또는 Node.js)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객체 브라우저 환경 : DOM, BOM, Canvas, XMLHttpRequest 등의 WebAPI제공 Node.js 환경 : path, os 등 node.js 에서 고유의 API 제공 공식문서 참조 사용자.. 2022. 2. 23.
[4주차 스터디] 20장- strict mode strict mode strict mode 란?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문법을 좀 더 엄격히 적용하여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거나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최적화 작업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코드에 대해 명시적인 에러를 발생시킨다. ESLint 같은 린트 도구를 사용해도 strict 모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린트 도구란 정적 분석 기능을 통해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소스코드를 스캔하여 문법적 오류 만이 아니라 잠재적 오류까지 찾아내고 오류의 원인을 리포팅해주는 도구이다. ESLint사용방법 strict mode 의 적용 전역의 선도 또는 함수 몸체의 선두에 'use scritct'; 키워드를 추가하여 사용 전역에 사용시 스크립트 전체에 strict mode 적용 'use .. 2022. 2. 23.
최장 공통 부분 수열(LCS) 최장 공통 부분 수열은 Longest Common Subsequence의 약자로 줄여서 LCS라고 한다. 우선 Subsequence와 Substring의 차이에 대해 알아야 한다. Substring이랑 부분 문자열로 공통 Substring을 구해야 한다면 공통된 연속하는 문자열을 구할 수 있어야한다. Subsequence는 부분 수열로 공통 Subsequence는 문자를 건너 뛰더라도 공통뒤는 문자 수열을 말한다. 최장 공통 부분 수열(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를 구하는 방법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한다. 두 문자열이 있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를 하나 씩 방문하여 같은지 비교하여 값을 저장한다. 그림으로 이해하면 이해하기 쉬움 위 그림을 예시로 "ABCAB"라는 .. 2022. 2. 15.